[파이썬 강좌 2강] 변수와 자료형 – 파이썬의 기본을 잡아보자!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변수’입니다.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자와도 같고, 그 상자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담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자료형’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파이썬에서 변수가 무엇인지, 어떤 자료형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변수란 무엇인가요?

변수(Variable)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에 붙이는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이름이나 나이를 저장하려면 그 값을 담을 ‘변수’가 필요합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ython
name = “철수”
age = 25
“`

위 예제에서는 문자열 “철수”를 name이라는 변수에, 숫자 25를 age라는 변수에 저장했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 선언은 어떻게 하나요?

다른 언어들과 달리 파이썬은 변수의 자료형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냥 값을 할당하기만 하면 파이썬이 자동으로 자료형을 판단합니다.

“`python
x = 10 # 정수 (int)
y = 3.14 # 실수 (float)
z = “hello” # 문자열 (str)
“`

파이썬은 이처럼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자주 쓰이는 자료형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형들을 살펴볼게요.

1. **정수 (int)**
– 소수점 없는 숫자입니다.
“`python
score = 90
“`

2. **실수 (float)**
– 소수점이 있는 숫자입니다.
“`python
pi = 3.14159
“`

3. **문자열 (str)**
– 문자나 단어를 표현하는 자료형입니다.
“`python
message = “안녕하세요”
“`

4. **불린 (bool)**
–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냅니다.
“`python
is_active = True
is_logged_in = False
“`

5. **리스트 (list)**
–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습니다.
“`python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

변수 이름을 지을 때 주의사항

– 영어 소문자, 숫자, 밑줄(_)을 사용합니다.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 공백이나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의미 있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a = 10`보다는 `age = 10`이 더 읽기 쉽고 유지보수에도 좋습니다.

자료형 확인하기

`type()`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에 저장된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ython
x = 100
print(type(x)) #

text = “Python”
print(type(text)) #
“`

실습 예제: 사용자 정보 출력하기

“`python
name = “지수”
age = 22
is_student = True

print(“이름:”, name)
print(“나이:”, age)
print(“학생 여부:”, is_student)
“`

출력 결과:
“`
이름: 지수
나이: 22
학생 여부: True
“`

오늘의 정리

–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의 이름이다.
– 파이썬은 변수에 자료형을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 주요 자료형: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불린(bool), 리스트(list)
– `type()`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강의 예고

3강에서는 **연산자**에 대해 배워볼 예정입니다. 숫자 계산부터 문자열 연결까지, 파이썬이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 기능을 알아보도록 해요!

🔗 [파이썬 공식 문서 자료형 설명](https://docs.python.org/3/library/stdtypes.html) (새 창에서 열기)

계속해서 연재되는 강의를 편하게 보시려면 사이트를 즐겨찾기 해두시고, 다음 강의도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