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완전 초보 탈출 2강 – 변수와 자료형 제대로 이해하기!

파이썬의 세계에 첫발을 디딘 여러분, 환영합니다!

1강에서는 파이썬 설치와 첫 번째 코드를 실행해봤죠. 이번 시간에는 프로그래밍에서 아주 기본이 되는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코드를 작성할 때 데이터는 필수입니다. 이름, 숫자, 참/거짓 같은 정보들이 바로 ‘데이터’이며, 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루는 수단이 바로 ‘변수’입니다.

🔍 변수란 무엇인가요?

변수는 쉽게 말해 ‘데이터를 담는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name = "홍길동"
age = 30

위의 코드는 “홍길동”이라는 이름을 name이라는 상자에, 숫자 30을 age라는 상자에 넣은 겁니다.

변수를 만들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해요: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돼요 (예: 1name ❌)
  • 띄어쓰기를 사용할 수 없어요 (예: my name ❌)
  • 파이썬의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어요 (예: if = 3 ❌)
  • 영어 소문자, 대문자, 밑줄(_) 조합으로 사용 가능해요

✅ 팁: 변수명은 snake_case 방식으로 지으면 가독성이 좋아요. (예: user_name)

📦 자료형의 종류

파이썬에는 다양한 자료형이 있어요. 대표적인 것들을 하나씩 살펴볼게요.

1. **문자열(str)** – 글자들을 의미합니다.

greeting = "안녕하세요!"
print(greeting)

2. **정수(int)** – 소수점 없는 숫자입니다.

age = 25
print(age)

3. **실수(float)** – 소수점 있는 숫자입니다.

height = 172.5
print(height)

4. **불린(boolean)** – 참(True)과 거짓(False)을 의미합니다.

is_adult = True
print(is_adult)

💡 팁: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type() 함수를 사용해보세요!

print(type(age))       # <class 'int'>
print(type(height))    # <class 'float'>

🧪 실습: 내 정보 출력하기

지금까지 배운 걸 활용해서 나만의 정보를 출력해볼까요?

name = "김코딩"
age = 22
height = 167.8
is_student = True

print("이름:", name)
print("나이:", age)
print("키:", height)
print("학생 여부:", is_student)

변수명을 자유롭게 바꿔보고, 값을 변경해서 테스트해보세요!

🚨 오류 피하기 팁

– 변수명을 잘못 쓰면 에러가 납니다. 예: pritn(name) ❌ → print(name)
–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가 혼용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Hello'

📌 오늘의 요약

  •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름표 같은 존재
  • 자료형은 숫자, 문자열, 불린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 print()type()으로 값과 자료형 확인 가능

📚 다음 강의 예고

3강: 연산자 제대로 활용하기에서는 숫자 계산부터 문자열 더하기까지 파이썬의 다양한 연산자들을 실습과 함께 알아볼 거예요.

질문이나 의견은 댓글로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

이 강의는 파이썬 완전 초보자를 위한 연재 시리즈입니다. 매주 업데이트 됩니다.